나는 재직자 전형으로 대학교를 진학할 당시, 네임밸류보단 학과를 보고 진학했다.
첫 번째, 목표를 갖고 싶었다.
앞선 피드에 말했듯이, 내가 다녔던 회사는 모두가 다 아는 금융 대기업이었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(?) 고졸 취업자는 경력 인정이 안되고, 대리가 되려면 10년 이상의 연차와 TO가 있어야 가능했다. 이러한 상황에서 나는 회사 생활의 기본적인 목표인 ‘승진’이라는 목표부터 세울 수가 없었다. 아무리 열심히 해도 그 자리에 멈춰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, 이렇게 10년을 근무하다 보면 다른 회사의 이직은 꿈도 못 꾸고 이 회사에 발목이 묶여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. 그래서 나는 나름대로의 목표를 세우고 커리어를 쌓을 수 있는 직업을 갖고 싶었다. 따라서 특정 분야를 제대로 배우거나 다양한 배움의 기회가 있는 학과를 가고 싶었다.
두 번째, 평생 일 할거라면,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해야 한다.
3년동안 회사생활을 하면서 한 번도 일이 재밌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었다.(물론 많은 직장인 분들이 그러하겠지만) 그런데 나는 이게 참 고통스러웠다. 하루의 절반 이상을, 그것도 야근을 해가면서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한다는 건 참 불행한 일이라고 생각했다. 일을 하는 데 있어서 재미까지는 아니더라도 본인만의 작은 가치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. 또 앞으론 120세 인생이라고 하는데, 평생 일을 해야 한다면 정말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해야 롱-런할 수 있다는 생각도 들었다. 그래서 나가 무엇을 좋아하는지, 어떤 일을 할 때 행복한지, 재미있는지 찾고 싶었다. 내 자신에 대한 이해도 안된 채 취업한 셈이다.
세 번째, 중고신입은 경험이 중요하다.
나 같은 경우엔, 회사를 그만두고 학교를 들어가면 자동적으로 중고 신입이 될 터였다. 경력 인정이 안되기 때문에 어떠한 회사를 들어가더라도 신입으로 입사하게 될 것이지만 회사 ‘경험’은 있으니 중고 신입이 빼박(?)이었다. 중고 신입은 작은 경험이더라도 그 경험이 강점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. 나는 회사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쌓기 위해 단순히 학교 네임밸류가 아닌 학과를 보고 진학했다는 스토리가 쌓고 싶었고, 실제로 이러한 전략이 취업할 때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고 생각한다.
결과적으로 나는 서울 4년제 대학권에서 영상제작, 편집, 디자인, 코딩을 경험해볼 수 있는 학과를 선택했고 지금 생각해보면 참 잘한 선택이었다는 생각이 든다. 대학에 대한 이야기는 차차 해보겠다.
'고졸&대졸취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광고회사 인턴 취업 자소서 & 포트폴리오 (0) | 2019.07.28 |
---|---|
2018 인사이트랩 대외활동 솔직후기 (0) | 2019.07.18 |
하고 싶은 일을 찾는 방법 in 대학교 (0) | 2019.07.16 |
재직자전형 대학교 선택하기 (0) | 2019.07.14 |
특성화고 선택, 고졸취업한 이유 (0) | 2019.07.13 |